미하일 오파린

덤프버전 : (♥ 0)



파일:FC 아흐마트 그로즈니 로고.svg
FC 아흐마트 그로즈니 2023-24시즌 스쿼드
1 오파린 · 3 볼코프 · 5 샤타라 · 6 첼리코비치 · 7 베리샤 (3C) · 8 보고사바츠 · 9 아갈라로프 · 10 사둘라예프 · 11 다니에우 Jr. · 13 코나테
15 세묘노프 (VC) · 16 카밀루 · 18 카밀로프 · 19 비스트로프 · 20 니지치 · 21 올레이니코프 · 23 시베츠 · 24 디바노비치 · 29 일린
33 마추예프 · 35 타샤예프 · 40 우치예프 (C) · 47 그밤블 · 55 토도로비치 · 59 하린 · 88 셸리야 · 94 티모페예프 · 98 코바체프
파일:벨라루스 국기.svg 미로슬라프 로마셴코 파일:벨라루스 국기.svg 안드레이 소스니츠키 파일:러시아 국기.svg 로베르트 예브도키모프
*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.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. *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.


파일:MikhailOparin.png
FC 아흐마트 그로즈니 No. 1
미하일 세르게예비치 오파린
Михаил Сергеевич Опарин
생년월일1993년 3월 22일 (31세)
국적파일:러시아 국기.svg 러시아
출신지러시아 옴스크
신체 조건196cm, 90kg
포지션골키퍼
주발왼발
유소년 클럽FC 디나모 옴스크 (?)
FC 아카데미야 톨리야티 (?)
소속 클럽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(2010)
FC 암카르 페름 (2011~2013)
FC 칼루가 (2013, 임대)
FC 이르티시 옴스크 (2013~2014)
FC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
(2014~2017)
FC 토스노 (2017~2018)
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(2018)
FC SKA 하바롭스크 (2018~2019)
FC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
(2019~2022)
FC 아흐마트 그로즈니 (2022~)
1. 개요
2. 클럽 경력
3. 수상 경력
4. 같이 보기


1. 개요[편집]


러시아의 축구선수.


2. 클럽 경력[편집]


디나모 옴스크 축구학교와 톨리야티 아카데미,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의 유스 시설을 졸업했다. 2011년, 암카르 페름의 유스에 입단하였고, 유스리그에서 득점도 기록하였다. 이후 2012-13 시즌에 3부리그의 칼루가로 잠시 임대를 가 실전 경험을 쌓았다.

2013-14시즌 3부리그의 이르티시 옴스크로 이적해 리그 15경기, 컵 2경기를 뛰었다. 14-15시즌부터 2부리그의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로 이적하였고, 2016-17시즌 처음으로 주전 골키퍼가 된다. 이후, 아르세날 툴라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도 주전으로 출전하나 팀은 승격에 실패한다.

2017년 여름에 토스노로 이적하여 3년 계약을 체결하였다. 러시아 컵 경기에서 3경기를 뛰었고, 그가 뛴 결승전에서 팀은 러시아 컵 우승을 차지한다. 2018년 3월 4일 SKA 하바롭스크와의 원정 경기에서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. 팀이 해체된 이후, 2018년 여름에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이적하나, 3개월 동안 단 한경기도 뛰지 못하고 SKA 하바롭스크로 이적하였다.

2019-20시즌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로 돌아와 2020-21시즌부터 본격적으로 주전으로 뛰기 시작했으며 36경기 12클린시트를 기록한다. 2021-22시즌에도 주전으로 36경기 11클린시트를 기록하였다.

2022-23시즌을 앞두고, 아흐마트 그로즈니로 이적하여 백업 골키퍼로 활약하고 있다. 2022년 8월 31일 오렌부르크와의 컵 대회에서 데뷔전을 치렀다.


3. 수상 경력[편집]


FC 토스노 소속
  • 러시아 컵 우승: 2017-18

4. 같이 보기[편집]


파일:FC_Akhmat_Grozny2.png
]
[ 펼치기 · 접기 ]
번호포지션국적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러시아 키릴문자 성명비고
4DF파일: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.svg다르코 토도로비치Darko TodorovićДарко Тодорович[1]
5DF파일:러시아 국기.svg비탈리 리스초프Vitali LystsovВиталий Лысцов[2]
6MF파일:러시아 국기.svg아미르 아두예프Amir AduyevАмир Адуев
7MF파일:코소보 국기.svg베르나르드 베리샤Bernard BerishaБернард Бериша
8DF파일:세르비아 국기.svg미로슬라브 보고사바츠Miroslav BogosavacМирослав Богосавац
9MF파일:루마니아 국기.svg가브리엘 이안쿠Gabriel IancuГабриэль Янку
10MF파일:러시아 국기.svg할리트 카디로프Khalid KadyrovХалид Кадыров
11MF파일:러시아 국기.svg이고리 코노발로프Igor KonovalovИгорь Коновалов[3]
13FW파일:부르키나파소 국기.svg모하메드 코나테Mohamed KonatéМохамед Конате
14MF파일:우크라이나 국기.svg아르템 폴랴루스Artem PolyarusАртём Полярус
15DF파일:러시아 국기.svg안드레이 세묘노프Andrei SemyonovАндрей Семёнов부주장
17MF파일:러시아 국기.svg레치 사둘라예프Lechi SadulayevЛечи Садулаев
18FW파일:코트디부아르 국기.svg세냉 세바이Senin SebaiСенин Себай
20DF파일:크로아티아 국기.svg조란 니지치Zoran NižićЗоран Нижич
23MF파일:러시아 국기.svg안톤 시베츠Anton ShvetsАнтон Швец
33GK파일:러시아 국기.svg비탈리 구디예프Vitali GudiyevВиталий Гудиев
40DF파일:러시아 국기.svg리즈반 우치예프Rizvan UtsiyevРизван Уциев주장
42GK파일:러시아 국기.svg알렉산드르 멜리호프Aleksandr MelikhovАлександр Мелихов
47MF파일:러시아 국기.svg다니일 우트킨Daniil UtkinДаниил Уткин[4]
55DF파일:러시아 국기.svg알렉산드르 푸츠코Aleksandr PutskoАлександр Пуцко
59MF파일:러시아 국기.svg예브게니 하린Yevgeni KharinЕвгений Харин
68FW파일:러시아 국기.svg아르툠 아르히포프Artyom ArkhipovАртём Архипов[5]
77MF파일:러시아 국기.svg블라디슬라프 카라푸조프Vladislav KarapuzovВладислав Карапузов[6]
88GK파일:러시아 국기.svg기오르기 셸리야Giorgi SheliaГиорги Шелия
90FW파일:러시아 국기.svg이슬람 알술타노프Islam AlsultanovИслам Альсултанов
94MF파일:러시아 국기.svg아르툠 티모페예프Artyom TimofeyevАртём Тимофеев
95FW파일:러시아 국기.svg아부바카르 카디로프Abubakar KadyrovАбубакар Кадыров
96DF파일:카자흐스탄 국기.svg마라트 비스트로프Marat BystrovМарат Быстров
구단 정보
감독: 안드레이 탈랄라예프 / 홈 구장: 아흐마트 아레나
출처: 트랜스퍼마르크트, 마지막 수정 일자 2021년 7월 1일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1-22 12:48:56에 나무위키 미하일 오파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